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재정칼럼] 헛된 주식시장 예측

미국 주식시장의 주요 지수인 S&P 500은 지난 1년간 약 30% 상승했다. 이렇게 주식 시장이 호조를 보이면서 일부 투자자는 지금이라도 투자를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한다. 주식 투자로 돈 벌었다는 소식을 들으면 본인만 손해 보는 것 같고 투자를 하자니 폭락의 두려움 때문에 쉽게 결정할 수도 없다.     투자자들은 쏟아지는 증시 전망에 귀를 기울이기 마련이다.  나의 소중한 돈을 투자하기 전 주식 시장의 향방을 알고 싶기 때문이다. 이런 투자자의 간절한 마음에 대한 보답(?)으로 금융회사들은 끊임없이 증시 전망을 발표한다.   대형 금융회사인 골드만삭스는 현재 약 5100 수준(12일 현재)인 S&P500 지수가 연말엔 600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바클레이스 주식 전략팀은 6050, 오펜하이머는 5500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투자자들이 기업 이익에 집중하고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기대로 2021년의 기술주 폭락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것이 상승장을 전망하는 이유다.      제이피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은 2022년 중순 “미국 경제에 허리케인이 다가오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대형 헤지펀드사인 브리지워터의 레이 달리오 대표가 경제적 고통의 ‘퍼펙트 스톰’이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많은 경제학자도 경제침체(Recession)를 예상했다.     그런데 이런 암울한 예측에도 지난해 S&P 500 지수는 24% 상승했고, 올해도 꾸준히 오르고 있다. 다만 골드만삭스는 올해 기술주 주식이 기대에 어긋나면 S&P 500이 4500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한다. 즉, 증시가 오를 수도 있고 하락할 수도 있다는 예측이다. 금융회사 더블라인 캐피털의 건들라크 대표는 올해 S&P 500 지수가 3200까지 급락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증시는 급등세를 보였다.  경제 전문지 월스트리트지(WSJ)는 그에게 이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지만, 아직 답을 듣지 못했다고 한다.     일반 투자자는 주식시장 전망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 전문가라는 사람들에게도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피델리티에서 뮤추얼펀드를 운용하며 장기간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던 유명 펀드 매니저피터 린치는 “주식시장 폭락을 준비하거나 폭락을 예측해서 투자하면 주식시장 폭락 자체로 잃는 돈보다 훨씬 더 큰 손실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주식시장은 1950부터 2023년까지 최고점을 1200회나 기록했다. 매년 평균 17회씩 최고점을 기록했으며, 이것은 평균 20일마다 한 번씩 최고점을 기록한 것이다. 물론 주식 시장이 하락 혹은 폭락한 적도 있지만 결국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식시장 수익률은 지난 5년간 연평균 14.68%, 10년은 12.02%, 20년은 9.69%, 그리고 30년은 10.04%, 그리고 50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11.13%를 기록했다. 전문가도 맞추기 어려운 주식시장 예측을 멀리하고 꾸준히 장기 투자를 하면 연평균 10% 이상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다. 연평균 수익률 10%란 복리도 10만 달러 투자가 7.2년 후엔 20만 달러, 그 후 또 7.2년 후엔 40만 달러, 그리고 약 23년 후에는 80만 달러로 불어나는 높은 수익률이다.   벤 버냉키 전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과거의 경험에서 배운 것이 있다면 미래의 예측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언급한 것을 기억해야 한다.   노후 대책과 은퇴 후에 필요한 생활비를 마련하는 작업은 몇 년이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일이다. 주식 시장의 역사는 낙관적인 마음을 갖고 장기 투자를 하면 투자금이 불어날 확률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주식시장 예측 주식시장 예측 주식시장 수익률 주식시장 폭락

2024-04-14

[재정칼럼] 자영업과 노후대책

오래전부터 자영업자 친구들에게 주식시장 투자를 추천했다. 주식시장 수익률이 연평균 약 10%라며 이유를 설명했다. 그런데 친구들의 반응은 우습지(?)도 않다는 표정이었다. 그러면서 50달러짜리 제품을 매입해 100달러에 팔면 수익률 100%라고 했다.     매달 500달러씩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것도 권했다. 이것 역시 반응이 신통치 않았다. 이유인즉 한 달에 500달러, 즉 일 년에 6000달러 투자하면 10년이 지나도 원금은 6만 달러다. 이렇게 해서 어느 세월에 노후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느냐는 주장이었다.   미용 재료상, 옷 가게, 세탁소, 식품점 등을 하는 친구들은 매장 수를 더 늘리고 사업 규모를 키우는 데 노력했다. 그들의 이런 방법이 풍족한 노후대책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세상 일이 기대하고 희망한다고 해서 항상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민 1세들이 언어도 자유롭지 못한 이국땅에서 아이들 키우며 한푼 두푼 번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심지어 목숨을 담보로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분들도 쉽게 만날 수 있다. 이렇게 평생 고생스럽게 비즈니스를 운영했다면 노후라도 편안한 생활로 이어져야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여기에 기대수명 연장으로 은퇴 후에도 20~30년 이상을 수입 없이 살아야 한다.   자영업자들도 주식시장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알아본다. 연평균 투자 수익률 10%란 투자한 돈이 7.2년마다 두 배로 불어난다는 의미다. 즉, 10만 달러를 투자했다면 7.2년 후엔 20만 달러로, 또 7.2년 후에는 40만 달러, 또 7.2년 후, 즉 22년 후에는 80만 달러로 불어나는 것이다. 이런 투자 복리(Compound Interest)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시간이 필요하다.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는 주식 투자에 가장 치명적이다. 조급한 마음은 주식시장의 높은 수익률 혜택을 받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물론 노후 자금 마련도 어렵게 한다.   자영업자에게 한 달 500달러는 그리 큰돈이 아닐 수 있다. 지난 30년(1994-2023) 주식시장의 연평균 수익률은 10.16%다. 30년 동안 꾸준히 주식시장에 투자했다면 비즈니스와 전혀 상관없이 현재 100만 달러 이상으로 불어났을 것이다. 부부가 함께했다면 200만 달러다. 사람마다 소비 규모는 다르지만, 이만한 목돈이라면 편안한 은퇴 생활이 가능하다.     모든 투자의 기본은 분산투자이다. 자영업자가 한두 개의 비즈니스를 운영하면 모든 투자가 한 곳으로 집중된 것이다. 여기서 언급하는 주식시장(S&P 500) 투자는 우리에게 익숙한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구글, 테슬라 등과 같은 500대 기업을 하나로 묶은 투자 종목이다. 여기서 주식시장에 투자한다는 의미는 500대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다. 투자 위험성이 적기 때문이다. 설령 비즈니스가 생각한 대로 잘되지 않았다고 해도 노후대책은 마련될 수 있다.   은퇴는 누구나  하게 된다. 사업체를 자녀에게 물려주는 경우도 있지만 노후를 위해서 사업체를 처분하면 목돈이 나온다. 부부가 노후 생활비를 만들어야 하는 소중한 목돈이다. 주식 투자를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소중한 목돈을 어떻게 투자해야 할지 걱정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사업체를 운영하며 적은 투자라도 해서 수익을 올린 경험이 있다면 쉽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사람이 노동으로 부를 쌓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런 이유로 ‘투자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런 버핏은 ‘잠자는 동안에도 내 돈이 불어나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일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고생한 한인 1세대들이 제대로 된 투자를 통해 편안하고 안락한 은퇴 생활을 하게 되기를 희망해 본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자영업과 노후대책 주식시장 투자 자영업과 노후대책 주식시장 수익률

2024-03-17

[재정칼럼] 목돈? 아니면 연금?

 물가상승을 잡기 위해서 이자율도 함께 오르고 있다. 이자율 상승은 모두에게 영향이 있지만, 특히 은퇴 시점을 목전에 둔 직장인은 매우 심각하고 중요한 결정을 해야만 한다. 은퇴하는 날짜에 따라서 직장에서 받을 수 있는 은퇴자금(Pension)이 20%에서 30%까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퇴 결정은 개인마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본인의 건강, 집안의 평균 수명, 가족의 경제 상황, 부부의 전체 은퇴 자금 등 고려해야 할 것이 많이 있다.     은퇴를 결정했다면 은퇴 자금을 목돈(Lump Sum)으로 받을 것인지 아니면 다달이 지급되는 연금(Annuity)으로 받을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선택은 본인은 물론 가족 특히 배우자에게도 영향이 있기에 심사숙고해야 한다. 또한 이런 결정은 번복할 수가 없다.       어떠한 선택이든 각각 위험성이 존재한다. 사람마다 감정적으로 혹은 경제적으로 상황이 다르기에 어느 선택이 좋고 나쁘다고 말할 수 없다. 목돈으로 받으면 가장 염려스러운 것은 잘못된 투자로 투자손실이 날 경우이다. 본인이 직접 투자, 혹은 간접투자로 만족할 만한 결과가 없었다면 목돈으로 받는 선택은 어려운 선택이 될 것이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려고 연금을 선택해도 위험성은 있다. 일반적으로 은퇴자가 사망하면 연금도 함께 없어진다. 물론 배우자가 받을 수 있도록 결정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선택은 은퇴자 혼자서 받는 금액보다는 적은 액수가 된다. 만일 목돈으로 받아서 IRA에 롤오버(rollover)를 하게 되면 은퇴자가 사망해도 배우자가 받게 되고, 배우자도 사망하면 자녀에게 유산으로 물려줄 수가 있다.   돈의 유동성도 고려해 봐야 한다. 은퇴자 혹은 배우자가 심각한 병에 걸린다고 해도 받는 연금은 이미 정해져 있다. 그러나 목돈으로 받으면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목돈이 얼마라고 정해지고 이 목돈으로 어뉴어티(Immediate Annuity)를 보험회사로부터 사면 매달 얼마씩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이 숫자를 회사에서 받을 수 있는 연금과 비교한 후 결정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은, 목돈 일부는 투자(목돈을 계산한 이자보다 더 받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등 다른 곳에 사용하고 일부는 어뉴어티를 구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금으로 받는 결정을 하면 물가상승이 큰 문제가 된다. 요즘처럼 물가가 연 8%나 올라도 연금으로 받는 액수는 전혀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이가 젊은 사람은 투자가 복리로 상승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은퇴자에게는 같은 복리 효과로 돈의 값어치가 무섭게 하락한다는 사실이다.   연금 계산법은 대략 60세 은퇴자가 85세까지 산다면 수익률이 2.5% 정도이고, 95세까지 산다면 4%다. 이 수익률과 주식시장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지난 13년 동안에는 15%, 그리고 90년 연평균 수익률은 약 10% 정도가 된다. 주식시장이란 우리에게 익숙한 아마존, 애플, 구글,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같은 500대 기업을 하나로 묶은 투자 종목이다.   선택에 감정을 무시할 수 없다. 잘못된 투자나 여러 가지 이유로 ‘퇴직금이 전부 날아갔다’라는 말도 자주 듣는다. 이런 이유로 안전성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연금을 많이 선택한다. 그러나 주식시장 수익률과 연금의 수익률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아야 하며 모든 투자는 물가상승 이상으로 불어나야 생활비가 꾸준히 유지되는 것이다.   연금으로 받느냐? 목돈으로 받느냐?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당사자는 물론 사랑하는 배우자와 자녀들에게까지 영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연금 목돈 주식시장 수익률 목돈 일부 만일 목돈

2022-12-19

[재정칼럼] 목돈? 아니면 연금?

물가상승을 잡기 위해서 이자율도 함께 오르고 있다. 이자율 상승은 모두에게 영향이 있지만, 특히 은퇴 시점을 목전에 둔 직장인은 매우 심각하고 중요한 결정을 해야만 한다. 은퇴하는 날짜에 따라서 직장에서 받을 수 있는 은퇴자금(Pension)이 20%에서 30%까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퇴 결정은 개인마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본인의 건강, 집안의 평균 수명, 가족의 경제 상황, 부부의 전체 은퇴 자금 등 고려해야 할 것이 많이 있다.     은퇴를 결정했다면 은퇴 자금을 목돈(Lump Sum)으로 받을 것인지 아니면 다달이 지급되는 연금(Annuity)으로 받을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선택은 본인은 물론 가족 특히 배우자에게도 영향이 있기에 심사숙고해야 한다. 또한 이런 결정은 번복할 수가 없다.       어떠한 선택이든 각각 위험성이 존재한다. 사람마다 감정적으로 혹은 경제적으로 상황이 다르기에 어느 선택이 좋고 나쁘다고 말할 수 없다. 목돈으로 받으면 가장 염려스러운 것은 잘못된 투자로 투자손실이 날 경우이다. 본인이 직접 투자, 혹은 간접투자로 만족할 만한 결과가 없었다면 목돈으로 받는 선택은 어려운 선택이 될 것이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려고 연금을 선택해도 위험성은 있다. 일반적으로 은퇴자가 사망하면 연금도 함께 없어진다. 물론 배우자가 받을 수 있도록 결정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선택은 은퇴자 혼자서 받는 금액보다는 적은 액수가 된다. 만일 목돈으로 받아서 IRA에 롤오버(rollover)를 하게 되면 은퇴자가 사망해도 배우자가 받게 되고, 배우자도 사망하면 자녀에게 유산으로 물려줄 수가 있다.   돈의 유동성도 고려해 봐야 한다. 은퇴자 혹은 배우자가 심각한 병에 걸린다고 해도 받는 연금은 이미 정해져 있다. 그러나 목돈으로 받으면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목돈이 얼마라고 정해지고 이 목돈으로 어뉴어티(Immediate Annuity)를 보험회사로부터 사면 매달 얼마씩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이 숫자를 회사에서 받을 수 있는 연금과 비교한 후 결정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은, 목돈 일부는 투자(목돈을 계산한 이자보다 더 받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등 다른 곳에 사용하고 일부는 어뉴어티를 구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금으로 받는 결정을 하면 물가상승이 큰 문제가 된다. 요즘처럼 물가가 연 8%나 올라도 연금으로 받는 액수는 전혀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이가 젊은 사람은 투자가 복리로 상승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은퇴자에게는 같은 복리 효과로 돈의 값어치가 무섭게 하락한다는 사실이다.     연금 계산법은 대략 60세 은퇴자가 85세까지 산다면 수익률이 2.5% 정도이고, 95세까지 산다면 4%다. 이 수익률과 주식시장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지난 13년 동안에는 15%, 그리고 90년 연평균 수익률은 약 10% 정도가 된다. 주식시장이란 우리에게 익숙한 아마존, 애플, 구글,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같은 500대 기업을 하나로 묶은 투자 종목이다.   선택에 감정을 무시할 수 없다. 잘못된 투자나 여러 가지 이유로 ‘퇴직금이 전부 날아갔다’라는 말도 자주 듣는다. 이런 이유로 안전성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연금을 많이 선택한다. 그러나 주식시장 수익률과 연금의 수익률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아야 하며 모든 투자는 물가상승 이상으로 불어나야 생활비가 꾸준히 유지되는 것이다.   연금으로 받느냐? 목돈으로 받느냐?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당사자는 물론 사랑하는 배우자와 자녀들에게까지 영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연금 목돈 주식시장 수익률 목돈 일부 만일 목돈

2022-12-07

[전문가 칼럼] 청소년 재정교육이 필요한 까닭

 플로리다주 의회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정규과목으로 재정교육을 받아야 하는 법안이 최근 통과됐다.     또한 미국에선 매년 4월을 재정에 관심을 두는 달로 설정해 기본적인 금융 상식홍보에 나서고 있다.     세상을 살아가며 주식투자, 채권과 이자율 관계, 복리계산과 적용, 신용카드 이자율, 주택융자금, 학자금 투자와 융자, 은퇴 투자, 보험 등 필요한 재정 상식은 무수히 많다.     미국에 이민 온 1세대는 아이들 교육에 모든 시간과 정성을 기울이지만 한평생 살아가는데 필요한 금융 지식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다.     부모 역시 재정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들도  재정교육의 내용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재정교육 중요성의 한 예로 미국 자동차 5대 보험회사의 보험료는 개인의 신용등급에 따라 책정한다. 신용등급이 불량한 개인은 등급이 높은 사람에 비해 자동차 보험료를 65% 더 낼 수 있다. 자동차 사고 등이 전혀 없어도 신용등급에 따라 보험료를 2배 이상 내는 경우도 있다. 집을 살 때 필요한 주택융자금 이자율도 신용등급에 따라서 큰 차이가 있다.   신용카드 한도액이 1만 달러이고 매달 사용 액수를 갚으면 신용등급에 아무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신용회사는 카드 한도액과 쓴 빚을 함께 계산한다. 한도액 1만 달러에 대해 1000달러를 사용하면 10%이며 2000달러를 사용하면 20%이다. 이것을 ‘사용 비율(Utilization Ratio)’이라고 하며 이 숫자가 적을수록 신용등급이 높아진다. 신용등급 회사는 이 비율을 한 자리 숫자, 즉 10% 미만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한 간단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일반 투자자는 투자할 때 대박 나는 종목을 선택하고자 한다. 투자하는 시점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저축을 해야 한다. 주식시장은 주기적으로 오르고 내림을 반복한다. 그러나 100달러에서 100달러를 더 저축하면 100% 상승이다. 뛰어난 투자 방법이 부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꾸준한 저축이 투자의 첫걸음이고 부를 축적하는 기본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도박이나 주식 투기는 단기간에 투자 돈이 불어나기를 기대한다. 생각한 대로 돈이 불어나면 얼마나 좋겠는가? 그러나 이렇게 될 확률은 매우 희박하다. 본전만 유지해도 다행이고 몸과 마음도 함께 상한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장기간에 투자 돈이 꾸준히 불어나게 하는 것이다.     수익률 10%란 투자 돈이 7.2년마다 두 배로 불어난는 것을 말한다. 10만 달러 투자는 7.2년 후 20만 달러, 또 7.2년 후는 40만 달러로 불어나는 놀라운 수익률이다.     이런 투자 복리효과를 받기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시간이 필요하다.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는 주식 투자에 가장 치명적이다. 조급한 마음은 놀라운 주식시장 수익률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투자 실패로 이어지게 한다.   지난 2021년 증권투자는 27.9%, 2020년은 18.4%, 2019년은 31.5%라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대박을 기대하지 않고 미국 500대 기업인 주식시장에 투자했다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높은 수익률이다. 지난 13년의 연평균은 16.03%이다. 이것은 10만 달러 투자가 거의 70만 달러로 불어난 놀라운 수익률이다.     하루하루 바쁘게 돌아가는 이민 생활에서 모든 재정 상식을 이해하고 생활에 반영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자신의 신용등급이 얼마인지, 어떻게 돈을 모아서 투자하는지, 투자를 가능한 왜 일찍 시작해야 하는지 등 기본적인 재정 상식을 이해해야 한다. 재정교육은 재산 상속보다도 더 소중한 누구나 아이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자산이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전문가 칼럼 재정교육 청소년 재정교육 중요성 주식투자 채권 주식시장 수익률

2022-03-28

[전문가 기고] 주가 하락 스트레스서 벗어나려면…

진정세를 보이기는 해도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는 여전하다. 이자율은 계속 상승할 전망이다. 물가도 점점 더 오른다. 이런 비관적인 소식은 주식시장을 더욱 하락장으로 몰고 간다.     언론 매체도 어김없이 ‘폭락(Plunge)’ ‘빠른 하락(Tumble)’ ‘피바다(Bloodbath)’ 등 자극적인 단어를 사용하며 투자자 마음을 더욱 불안하게 한다. 투자자들은 불안을 넘어 두려워지기까지 한다. 투자한 돈을 현금으로 바꿔야 하나 연일 갈팡질팡이다.     주식시장이 하락하면 투자자는 주가가 떨어진 원인과 향후 주식시장 전망에 대해 알고 싶어한다.  인터넷도 열심히 찾아보고 신문과 방송 뉴스에 눈과 귀를 집중하지만 시원한 해답을 얻지 못한다. 주식시장을 정확히 예측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의 1970년부터 50년간 결과를 살펴보면 2년에 1번은 10% 하락(Correction), 4년에 1번은 20% 하락(Bear Market), 7년에 1번은 30% 폭락(Crash)을 경험했다. 주식시장의 하락은 사실 놀라운 일은 아니다. 1973~1974년에는 48% 폭락, 2000~2002년에는 50% 폭락이라는 놀라운 하락도 경험했다. 이처럼 주식시장은 하락과 폭락이 분명 일어났다는 것이다.   투자자는 주식시장 하락으로 불안한 마음과 시장을 예측하려는 마음을 잠시 접어두고 큰 안목으로 주식시장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주식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고 실제적인 가치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기업 일부분을 소유하는 것이다. 기업은 경제의 기본이며, 경제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미국은 블랙먼데이, 이라크 전쟁, 9·11테러, 자연재해, 금융위기, 유럽 화폐위기, 무역전쟁 등 사회적, 정치적으로 많은 것들을 경험했다. 또한 사스, 조류독감, 웨스트나일, 에볼라 등을 겪을 때마다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경험을 했다.     하지만 결국에는 모든 것을 극복하며 국민총생산(GNP)은 꾸준히 상승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사람들이 끊임없이 노력하기 때문이다. 작년에 미국에서 상장된 회사 수가 980개이다.   코로나가 시작한 2020년 3월 말 이후 미국 국민의 순자산이 110조 달러에서 137조 달러로 불어났다. 순자산이란 집, 주식, 채권, 자동차, 현금 등에서 각종 융자금과 빚을 제하고 남는 자산을 말한다.     기업들이 성장과 침체를 반복하면서 경제는 상승하지만 주식시장은 수많은 투자자의 두려움과 욕심에 따라서 단기간에는 큰 폭으로 오르고 내림을 반복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특히 급격하게 하락하는 주식시장에서 느끼는 마음은 분명 유쾌한 기분이 아니다. 그러나 과거 10% 하락한 36번 중에서 22번은 하락한 상태로 머문 기간이 104일보다 적었다. 하락한 주식시장은 두렵지만 하락한 상태로 머문 기간은 매우 짧았다는 뜻이다.     미국 경제는 2차 대전 이후 주식이 떨어졌던 달의 수는 14%에 불과하고 86%는 상승했다.     주식시장 하락이라는 투자 위험 없이는 주식시장 수익률을 받을 수 없다.     미국의 주식시장은 2021년까지 지난 13년간 연평균 수익률 16.03%를 기록했다. 지난 90년간의 주식시장 연평균 수익률도 10%이다. 미래의 주식시장 수익률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오랜 역사는 우리에게 기준치를 제시한다. 장기간 주식투자 수익률은 분명 물가 상승보다는 높았다는 사실이다.   주식 하락 해결책을 찾기 위해 언론 매체에 집중하다 보면 무엇인가 결정해야 할 것 같은 분위기로 마음이 다급해진다. 하락하는 주식시장에선 모든 언론 매체를 잠시 멀리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재미있는 시간을 함께하는 것이 재정적으로나 정신건강적으로나 훨씬 유익하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전문가 기고 스트레스 주가 주식시장 하락 주식시장 수익률 주식시장 연평균

2022-02-01

[재정 칼럼] 주식투자는 ‘운’이 아닌 ‘통계’

 코로나19가 시작한 2020년 3월 말 이후 미국 국민의 순자산이 110조 달러에서 137조 달러로 불어났다. 순자산이란 주택, 주식, 채권, 자동차, 현금 등의 가치에서 주택 융자금, 신용카드, 학자금, 자동차 융자 등 모든 빚을 제하고 남은 자산을 말한다.   금융자산이 순자산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금융자산은 주식시장에 투자돼 있는 자산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부자 톱 10%가 주식시장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이 뜻은 천문학적인 자산 증가의 혜택은 대부분 주식시장에 투자한 사람에게 돌아갔다는 의미다. 인구의 절반인 50%는 주식시장에 투자한 돈이 거의 없다. 부자가 돈을 더 벌고 가난한 사람이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   금융위기 이후 2009년부터 2021년까지 주식시장은 연평균 15% 이상 성장했다. 투자한 원금이 1만 달러였다면 5만 달러 이상으로 5배가 불어난 것이다. 13년 기간 중 12년 주식시장이 상승했고 두 자리 숫자로 불어난 해만도 10번이다. 물론 주식시장이 하락하지 않고 계속 상승한 것은 아니다. 13년 중 10% 이상 하락은 7번을 경험했다. 참고로 기술주로 구성된 나스낙은 연평균 23% 상승이다.   오랫동안 주식시장이 상승했기에 언젠가 하락할 것이라고 말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도움이 되지 않는 말이다. 주식시장의 움직임을 예상하지 않고 꾸준히 투자한 사람은 높은 수익금을 받고 있지만 이것저것 머리(?) 쓰며 투자하지 않은 사람에겐 아무런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   저금한 돈은 불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물가 상승으로 돈의 가치는 계속 떨어진다. 투자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주식시장 폭락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모든 미디어와 주식 전문가(?)라는 사람도 끊임없이 주식시장 폭락과 그 이유를 설명한다. 폭락을 피하고 싶어 하는 것은 모든 투자자들의 공통된 심리다.   주식시장 투자에는 그 시점에 염려해야 하는 일들이 항상 있다. 그러나 20세기에 두 번의 세계전쟁, 한국전쟁 등이 있었고 12번 이상의 침체기, 오일 파동 등이 있었지만 다우존스는 66에서 1만1497로 상승했다. 금융위기도 경험했고 미국 신용등급 하락과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그리고 현재 코로나가 진행되고 있지만 올해만도 주식시장은 최고점을 70번이나 찍으며 수익률 27%를 기록했다.   적극적인 투자자는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마음을 가지고 팬데믹과 같은 어려운 상황을 좋은 기회라 생각하며 투자한다. 반면 소극적인 투자자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비관적인 마음 때문에 투자하지 못한다.   미국의 주식시장은 1926년부터 현재까지 연평균 수익률이 10%이다. 10%면 투자 돈이 7.2년마다 두 배로 불어난다. 미래의 주식시장 수익률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오랜 역사(통계)는 우리에게 기준을 제시한다. 오랜 기간 주식투자 수익률은 분명 물가 상승보다 높았다. 이래서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세상이 어수선하다. 일상생활이 코로나로 시작해서 코로나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위기는 기회라고 했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현시점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고 미래를 기대하며 투자하는 것이다.   2022년 새해가 시작됐다. 주식투자에 있어 꾸준히, 장기적으로, 분산해 투자하는 것은 철칙이면서 동시에 투자 위험성을 줄이는 방법이기도 하다. 무모한 투기가 아닌 합리적인 투자를 새해에 실천해 보자.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 칼럼 주식투자 통계 주식시장 투자 기간 주식투자 주식시장 수익률

2022-01-12

[전문가 칼럼] 주식투자는 ‘운’이 아닌 ‘통계’

코로나19가 시작한 2020년 3월 말 이후 미국 국민의 순자산이 110조 달러에서 137조 달러로 불어났다. 순자산이란 주택, 주식, 채권, 자동차, 현금 등의 가치에서 주택 융자금, 신용카드, 학자금, 자동차 융자 등 모든 빚을 제하고 남은 자산을 말한다.     금융자산이 순자산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금융자산은 주식시장에 투자돼 있는 자산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부자 톱 10%가 주식시장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이 뜻은 천문학적인 자산 증가의 혜택은 대부분 주식시장에 투자한 사람에게 돌아갔다는 의미다. 인구의 절반인 50%는 주식시장에 투자한 돈이 거의 없다. 부자가 돈을 더 벌고 가난한 사람이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   금융위기 이후 2009년부터 2021년까지 주식시장은 연평균 15% 이상 성장했다. 투자한 원금이 1만 달러였다면 5만 달러 이상으로 5배가 불어난 것이다. 13년 기간 중 12년 주식시장이 상승했고 두 자리 숫자로 불어난 해만도 10번이다. 물론 주식시장이 하락하지 않고 계속 상승한 것은 아니다. 13년 중 10% 이상 하락은 7번을 경험했다. 참고로 기술주로 구성된 나스낙은 연평균 23% 상승이다.   오랫동안 주식시장이 상승했기에 언젠가 하락할 것이라고 말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도움이 되지 않는 말이다. 주식시장의 움직임을 예상하지 않고 꾸준히 투자한 사람은 높은 수익금을 받고 있지만 이것저것 머리(?) 쓰며 투자하지 않은 사람에겐 아무런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     저금한 돈은 불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물가 상승으로 돈의 가치는 계속 떨어진다. 투자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주식시장 폭락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모든 미디어와 주식 전문가(?)라는 사람도 끊임없이 주식시장 폭락과 그 이유를 설명한다. 폭락을 피하고 싶어 하는 것은 모든 투자자들의 공통된 심리다.     주식시장 투자에는 그 시점에 염려해야 하는 일들이 항상 있다. 그러나 20세기에 두 번의 세계전쟁, 한국전쟁 등이 있었고 12번 이상의 침체기, 오일 파동 등이 있었지만 다우존스는 66에서 1만1497로 상승했다. 금융위기도 경험했고 미국 신용등급 하락과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그리고 현재 코로나가 진행되고 있지만 올해만도 주식시장은 최고점을 70번이나 찍으며 수익률 27%를 기록했다.   적극적인 투자자는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마음을 가지고 팬데믹과 같은 어려운 상황을 좋은 기회라 생각하며 투자한다. 반면 소극적인 투자자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비관적인 마음 때문에 투자하지 못한다.     미국의 주식시장은 1926년부터 현재까지 연평균 수익률이 10%이다. 10%면 투자 돈이 7.2년마다 두 배로 불어난다. 미래의 주식시장 수익률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오랜 역사(통계)는 우리에게 기준을 제시한다. 오랜 기간 주식투자 수익률은 분명 물가 상승보다 높았다. 이래서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세상이 어수선하다. 일상생활이 코로나로 시작해서 코로나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위기는 기회라고 했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현시점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고 미래를 기대하며 투자하는 것이다.     2022년 새해가 시작됐다. 주식투자에 있어 꾸준히, 장기적으로, 분산해 투자하는 것은 철칙이면서 동시에 투자 위험성을 줄이는 방법이기도 하다. 무모한 투기가 아닌 합리적인 투자를 새해에 실천해 보자.  이명덕 / 재정학 박사전문가 칼럼 주식투자 통계 주식시장 투자 기간 주식투자 주식시장 수익률

2022-01-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